고졸 취업 월400만원 버는 직업
 
시험일정
 
기출문제
 
직업찾기
 
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고졸 취업 월400만원 버는 직업

by 돈블록 2025. 6. 20.
반응형

 

 

 

 
 

목차

 
 

1. 특수용접기능사 자격 조건 및 시험 구성

특수용접기능사는 진입장벽이 낮고 누구나 도전할 수 있는 자격증입니다. 실기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반복적인 실습이 중요합니다.

필기 과목: 용접일반, 용접재료, 기계제도(비절삭)

문항 수 및 시간: 객관식 60문항 / 60분

실기 시험: TIG, MIG, 아크용접 – 약 1시간 40분~4시간 소요

실기 대비는 반드시 학원 또는 직업훈련기관에서 실습을 병행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2. 용접기사 자격 조건 및 준비법

응시 자격: 4년제 관련 학과 졸업(예정), 전문대 졸업 + 실무 경력 등

필기 과목: 용접공학, 용접재료, 기초이론 등

실기: 고난도 용접 작업 중심 평가

과정평가형 자격 제도를 활용하면, 실기 감점 부담을 줄일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3. 자격증별 연봉 수준은 얼마나 될까?

초보: 중소기업 2,500만~3,500만 원 / 대기업·조선소 3,600만~4,000만 원

3~5년차: 3,500만~5,800만 원

7년 이상 숙련공: 4,500만~7,200만 원 이상

플랜트 및 해외 숙련자: 7천만~1억 2천만 원까지 가능

자격증은 연봉의 시작점일 뿐이며, 실력과 현장 경험이 수익 상승의 핵심입니다.

 

 
 

4. 자격증 취득 이후 취업 현실은?

초기에는 중소기업이나 하청업체에서 시작하는 경우가 많지만, 1~2년 경력만 쌓아도 대기업 및 플랜트 현장으로 이직이 가능합니다.

 

주요 취업 분야: 조선소(현대중공업, 대우조선해양), 플랜트(LNG, 정유), 건설현장, 항공·자동차 제조업 등

정밀 용접 기술은 자동화 대체가 어렵기 때문에 수요는 계속될 전망입니다.

 

 
 

5. 용접자격증 활용 분야 요약

기초부터 상급까지 용접 자격증은 산업 전반에서 매우 실용적인 자격입니다. 특히 플랜트·조선소·LNG 현장은 고연봉, 고숙련 기술자를 선호합니다. 추가적으로 드론정비, 특수금속 용접, 건설 배관 등 연계 자격증과 함께 시너지 효과도 누릴 수 있습니다.

 

 
 

6. 용접기능사와 특수용접기능사의 차이

용접기능사는 일반적인 용접 기술을 다루며 다양한 산업군에서 활용됩니다. 특수용접기능사는 고온, 고압 조건에서도 정밀 용접을 수행할 수 있는 숙련 기술자를 의미합니다.

TIG, MIG, FCAW 등의 고난도 기술이 요구되며, 수익도 더 높게 책정됩니다.

 

인테리어 분야에서도 특수용접기능사의 수요가 높습니다. 고급 주거 공간, 쇼룸, 카페 인테리어에서 금속 프레임, 조명 구조물, 철제 계단 등을 정교하게 마감하기 위해서는 TIG, MIG 용접이 필수입니다. 이러한 정밀 작업은 일반 기능사보다는 특수용접 자격을 보유한 숙련자에게 주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결론적으로 특수용접기능사는 산업 현장과 인테리어 시장 모두에서 고수익 실현이 가능한 전문 자격입니다.

 

 

댓글